'한국에서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대학으로 유학을 떠난 어떤 선배가 미국 대학의 첫 세미나 시간에 겪은 일이다. 미국 유명 대학에 입학하여 맞이하게 된 첫 세미나 시간, 설레는 마음으로 맨 앞자리에 자리를 잡은 선배는 책으로만 접했던 세계적인 석학 교수의 강의를 기다리고 있었다. 주변을 둘러보니 앳된 얼굴의 20대 외국인 스무 명 남짓이 강의실에 앉아 있었다. 이윽고 강의실에 들어온 교수님은 강의실을 한 번 둘러본 후 말문을 열었다. "여기 앉아 있는 학생 중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대해 아는 사람 손들어보세요."
선배는 잠깐 코웃음 쳤다. 이학 전공 대학원생 중에 유명한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모르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선배는 호기롭게 손을 들었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강의실 안의 외국 학생들 중에서 손을 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어깨를 으쓱하며 선배는 우쭐대는 심정이 되었다. '이것 봐라, 미국 대학원 수준도 별거 아니네.' 손을 든 학생들을 둘러보던 교수님은 선배 뒷자리에 앉은 한 학생을 지적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안다고 손을 들었으니, 그 사람에 대해 설명해주겠어요?
교수님의 선택을 받은 학생은 갈릴레이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시작했고, 그 학생의 설명은 장장 20분 가까이 지난 후에야 끝이 났다. 외국 학생의 설명을 들으며 선배는 자신이 들었던 손을 잘라버리고 싶을 정도로 부끄러웠다고 한다. 만약 자신이 선택받았다면 갈릴레이에 대해 얼마나 오랫동안 설명할 수 있었을까. 자신은 고작 갈릴레이에 대한 몇 개의 단편적인 정보를 평면적으로 나열하는 데 그치고 말았을 것이라는 점을 스스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떤 대상에 대해 안다는 것을 그 대상에 대한 파편적인 정보 몇 가지를 알고 있는 것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식으로서의 '앎'은 단순한 정보의 집적일 수 없다. 어떤 대상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조리있게 설명하려면, 대상에 대한 단순한 이해에 앞서 이해한 정보를 나열하고 배치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그동안내가어디가나말을겁나게못했던이유라나도저선배처럼손을잘라버리고싶을정도로부끄럽지만공부를하는수단으로사용하기위해당분간보유한다
'책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서 단토「최후의 예술작품:예술작품과 실제 사물」 (0) | 2019.07.22 |
---|---|
제임스 E. 영「기억/기념비」,『꼭 읽어야 할 예술 비평용어 31선』 (0) | 2019.07.22 |
존 레이크먼 [질르 들뢰즈의 입장: 추상미술을 보는 새로운 안목] (0)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