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 미술관 열 돌 기념전 《깍지》
참여작가: 강서경, 권인경, 김수연, 라오미, 박경종, 배윤환, 신민, 지희킴, 최수진, 홍승혜
기간: 2020.10.22. (목) ~ 2020.12.19. (토)
관람시간: 오전 10시- 오후 6시 (일/월 휴관)
전시장소: OCI 미술관
관람료: 무료
10년은 강산도 바꾸고 학번도 주민번호 앞자리도 바꾼다. 평점은 대개 10점 만점이다. 장수의 상징 하면 또 십장생이다. 변화와 만개, 영속이 모두 ‘10’에 담겨 있다. OCI미술관의 지난 10년은 일일이 손꼽기 힘든 많은 작가들의 기발하고 독창적인 작업, 그들의 손으로 꾸린 각양각색의 전시로 반짝였다.
작가들의 목소리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려 늘 고민하는 것이 전시이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 했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그들도 마주치면 더 크게 진동하지 않을까? 따로 볼 때 미처 몰랐던 색다른 면모가 보다 또렷해지고, 서로 한층 돋보일 수 있지 않을까?
작가는 각자 왼손 혹은 오른손이 되어, 짝과 둘씩 마주 어우러진다. 깍지 끼는 모양새도 제각각이다.
팽팽하게 맞서다 때론 기대어 서고, 꼬치에 꿰어 도는가 하면, 거미줄로 두루 얽는다. 넌지시 이어지는
시각적 박자 속에 저마다 무언가 확장하고 뛰어넘는 ‘초월 얼개’를 심지처럼 품는다. 영 딴판이면서도
어딘가 자못 통하는 다섯 쌍의 작가들. 의기투합 깍지 끼고 쭉 뻗어 서로 밀어주는 양손을, OCI미술관을 빛낸 ‘금손’들을 다시 만난다. 김영기(선임 큐레이터)
신민작가의 작품은
작년 초 (2020.01.10. - 01.30.) 학고재 청담에서 전시한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99 ℃ 쇼케이스
<몸짓을 따라가며, 주변을 배회하고, 중심에 다가서려는> 展에서
처음 보고 매료되었다.
▼ 아래는 작년 당시에 느꼈던 것을 쓴 글이다.
'전시장으로 들어가기 직전 예고 없이 신민 작가의 작품을 마주쳤다. 하얀 현수막에 붉게 써져 있는 ‘SERVICE’는
작가가 말하는 ‘여성 노동자들’에 주목한 텍스트의 일부겠지만, 마치 지하 전시장으로 들어가기 직전의 내게 ‘만만하게 들어가지 말라’는 듯 각성하게 했다.
이는 작품의 연장선상에서 볼 때 작가 혹은 전시에게 요구되는 ‘서비스’도 마찬가지 아니었을까 간과하고 있던 부분이었다.
내게 전시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전시와 대면할 때 언제나 기대와는 다른 새로운 것들을 발견하는데,
이 전시를 선택한 목적과는 다르게 나는 ‘신민’작가의 작품에 매료되었다.
처음 ‘인스타그램’에서 작가의 작품이미지를 접했을 때 그저 종이 부조에 캐릭터 드로잉 작품정도로 치부했다.
하지만 실제로 본 그녀의 작품은 분명한 대상을 캐릭터로 반복하면서, 그 캐릭터에 들러붙은 세상의 흔적을
읽을 수 있었다. 이처럼 새로이 생긴 관심은 작가의 지난 아카이브를 살피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그녀의 작품세계를 살피며 ‘유망예술지원’작가로 말하기에 상당히 완성도 있는 작품과 굳혀진 작가의 스타일이 있다고 생각한다. 작가는 시대의 흐름에서 읽혀지다 못해 외치고 있는 것이다.
‘왜 다 나처럼 생겼지’ 작가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나는 이렇게 답하고 싶다. ‘작품은 역시 작가를 닮아야 매력적입니다.’
반가운 신민작가의 작품을 마주하고
흥미로운 작가를 새롭게 만났다.
오일파스텔의 강렬함이
사진에 담길 리 만무하다.
자연, 아니 세상의 모든 절망을 다 때려 부었지만,,,
그럼에도 작가는 살아있다.
아니 살아있어야 한다.
그 절망을 그려내기 위해.
특히 바다거북이의 이미지가 날 사로잡았다.
매서운 이미지에 어울리는 시니컬한 인터뷰.
실제로 만날까 무섭다.
최수진 작가의 작품은
SNS을 통해서도 많이 봤었다.
캔버스 주변에 주렁주렁,,
작가의 작품에서 튀어나온 듯한 효과가 인상깊었다.
차가운 작품 앞에서 한참을 서있었던 것 같다.
촌스럽게 표현될지라도, 현대인의 초상화라고 부르고 싶었다.
어쨌거나, 이 작품, 참 슬펐다.
Flower,,,less,,,
이번 전시 깍지에
참 잘어울리는 강서경&홍승혜 작가의 합작
-
사실 OCI미술관에 처음 온 내게
아쉽게도 그들의 10주년 기념전은
크게 와닿지 못했다.
숫자 '10'에 의미를 부여하며, 10명의 작가로
다섯 깍지를 끼어맞춰
기념하는 전시는
단순하면서도 젊은작가들의
힘을 명료하게 보여줬다.
10주년 기념전을 통해
그 다음의 10년을 계속해서 지켜봐야겠다.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올해의 작가상 2020》, 《양혜규-O2-H20》, 《이승택-거꾸로, 비미술》[출처] [전시리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올해의 작가상 2020》, 《양혜규-O2-H20》, .. (0) | 2021.06.10 |
---|---|
두산갤러리 서울, 우정수개인전 《Where is my voice》 20.11.18.-12.23. (0) | 2021.01.22 |
실린더 갤러리, 김민서작가, 이원우작가 《AI VS AI》 (0) | 2021.01.22 |
190626 서울대학교 미술관 <재난 Disaster> (0) | 2019.07.22 |
19062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곽인식 탄생 100주년 기념 Quac Insik: 100th Anniversary of Birth> (0) | 2019.07.22 |